중세국어 질문!(고1)

중세 국어 객체 높임에서 음절의 끝소리에 따라 사용되는 선어말 어미가 다른데 이때 왜 음절의 끝소리에 ‘ㅌ,ㅈ,ㅊ,ㅎ’도 있나요? 8종성법에는 없는 데 가능한건가요? 가능하다면 이유 좀 알려주세요.


✔️✔️✔️최고의 답변✔️✔️✔️

중세 국어에서 음절의 끝소리에 따라 사용되는 선어말 어미에 'ㅌ, ㅈ, ㅊ, ㅎ'이 포함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ㅌ, ㅈ, ㅊ, ㅎ'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사용되는 자음이며, 중세 국어에서도 발음 상으로 구별되는 소리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음이 선어말 어미에 사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둘째, 중세 국어에서는 어떤 음절의 끝소리가 'ㅌ, ㅈ, ㅊ, ㅎ'인 경우, 그 음절이 높임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다'라는 동사의 높임형은 '하시다'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시'는 'ㅅ'으로 시작되는 선어말 어미인데, '하시다'에서 '하'의 끝소리인 'ㅎ'이 선어말 어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셋째, 중세 국어에서는 어떤 음절의 끝소리가 'ㅌ, ㅈ, ㅊ, ㅎ'인 경우, 그 음절이 높임의 대상이 아니더라도 선어말 어미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중세 국어의 언어 체계에서의 규칙이며, 이러한 사용은 문법적으로 정당한 것입니다.

따라서 'ㅌ, ㅈ, ㅊ, ㅎ'이 음절의 끝소리에 사용되는 것은 중세 국어의 언어 체계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8종성법에는 포함되지 않았을지라도 가능한 것입니다.

질문과 답변을 친구들과 공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