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to부정사질문입니다.

to부정사는 it으로 시작하는 가주어문장에서 쓰이기도 하잖아요. 보니까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라는 개념이 있던데 이게 it가주어 문장에 that절이 쓰이는것과 무슨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for A >의 형태인 의미상의 주어가 쓰인 가주어문장을 that절의 형태로 쓰인 가주어문장으로 바꿀수도 있나요?


✔️✔️✔️최고의 답변✔️✔️✔️

It seems easy to teach children in school.

아이들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쉬워보인다.

It seems easy that David teaches children in school.

데이빗이 아이들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쉬워보인다.

이렇게 that이랑 to 부정사를 이용한 it가주어 예문을 만들어 봤습니다.

혹시 느낌이 오시나요?

it 가주어 문장에서 that을 쓰는 경우, 뒤에 문장이 와야합니다.

하지만 to 부정사를 쓰는 경우, 주어가 없어도 됩니다. 그냥 "동사"하는 것을 가리킬 때 쓰입니다.

그리고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앞에 뭐가 붙냐에 따라 몇가지로 나뉩니다.

1. 일반인 가리키는 경우 - 그냥 안써도 됩니다.

2. 전체 문장의 주어를 그대로 따라가는 경우

3. 전체 문장의 목적어가 의미상의 주어인 경우

4. 따로 명시하는 경우 - It is easy for me to do something. 이렇게 for 목적어 형식으로 쓰입니다.

5. 의미상 주어의 성품을 나타내는 경우 - It was so kind of you to accept my invitation. 성품을 나타내는 경우 of 목적어를 씁니다.

여기서 물어보신게 4번 문장을 that절 형태로 바꿀 수 있냐는건데 가능합니다.

It is easy for me to do something에서 it is easy that I do something 이런식으로 바꾸면 되겠죠?

It seems easy to teach children in school.

아이들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쉬워보인다. 만약 이 문장에서 for A 의미상 주어가 있다면?

It seems easy for David to teach children in school.

-> It seems easy that David teaches children in school.

이런식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좀 야매로 적어본 설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과 답변을 친구들과 공유하세요.